반응형
맥북이나 리눅스를 쓰던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해서
터미널이나 Bash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통해 자동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
source ~/.zshrc # zsh 사용 시
source ~/.bashrc # bash 사용 시
여기에 매일 쳐야하는 코드를 입력해두면 된다.
그럼 실행과 동시에 그 코드가 입력된 채로 시작된다.
예를들면, 아나콘다 가상환경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.
conda activate venv 를 매번 입력 해야한다면 저기 적어둔다.
그럼 입력이 자동화되어 즉시 가상환경에서 시작한다.
윈도우 파워쉘을 어쩔 수 없이 쓰는 경우에는 이걸 어떻게 할 수 있을까.
나같은 경우에도 회사에서 사용하는 윈도우 PC가 파이참이 기본적으로 파워쉘을 쓴다.
그래서 파워쉘을 켤 때마다 쳐야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했다.
일단 다음 경로로 들어가준다.
C:\Users\사용자명\Documents\PowerShell\Microsoft.PowerShell_profile.ps1
(그냥 UI에서 폴더 클릭 클릭 해서 들어가면 된다.)

이 파일을 열어 자동으로 실행할 코드를 치면 된다.
대표적인 예시 2개를 적어놓겠다.
1. 아나콘다 가상환경 자동 활성화
(맥북 터미널에서 conda activate venv)
conda activate venv # (맥북과 일치함)
2. 파이썬 프로젝트 폴더 경로 설정 자동화
(맥북 터미널에서 export PATH="/Users/PythonProjects:$PATH")
$env:PYTHONPATH += ";C:\Users\사용자이름\PythonProjects" # (프로젝트 폴더 경로 적기)
끝.
반응형
'Error 잡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IL 이미지를 NumPy로 변환하여 저장하지 마세요. (0) | 2024.03.05 |
---|---|
파이썬 리스트 2개 한번에 for문 돌리기 (0) | 2023.07.28 |
Timm 라이브러리 모델명 정리 (0) | 2023.07.19 |
Transformer confidence score 보는 방법 (0) | 2023.05.09 |
ImageNet 원본 이미지 보는 방법 (0) | 2023.05.09 |